카테고리 없음
디지털세 도입 본격화
기자 데이지
2025. 6. 17. 15:53
🌐 디지털세 도입 본격화!
글로벌 기업과 소비자에게 어떤 변화가?
2025년, OECD가 주도한 디지털세(global digital tax) 도입이 본격화되면서 글로벌 IT 기업들은 물론, 한국 소비자들의 지갑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지금까지 조세 사각지대에 있었던 다국적 디지털 기업에 과세를 하자는 움직임이 현실화된 것이다.
이번 글에서는 디지털세의 개념과 배경, 주요 국가의 대응, 그리고 소비자와 기업에 미칠 영향을 함께 정리해본다.
📌 디지털세란 무엇인가?
디지털세란, 해외에 본사를 둔 글로벌 IT 기업들이 각국에서 벌어들인 수익에 대해 해당 국가가 직접 세금을 부과하는 방식을 말한다.
- 대표 대상: Google, Apple, Meta(구 Facebook), Amazon 등
- 기존에는 본사 소재 국가(대부분 조세회피처)에서만 법인세를 납부
- 그러나 각국 소비자에게 막대한 수익을 얻고 있음에도, 과세는 거의 없었던 상황
💬 쉽게 말해:
“우리나라에서 돈 벌어갔으면, 우리나라에도 세금 좀 내라”는 논리!
🌍 왜 지금 도입됐을까?
- 글로벌 디지털 기업들의 독점과 수익 집중
- 팬데믹 이후 온라인 플랫폼 중심으로 수익 급증
- 각국의 전통기업 대비 세금 불균형 심화
- OECD 140개국 협의체 ‘필라1·필라2’ 합의
- Pillar 1: 매출 발생국에 세금 배분
- Pillar 2: 글로벌 최저 법인세율 15% 도입
- 국가별 단독 도입 시 무역갈등 우려
- 통일된 기준 필요성 증대 → 국제협약 기반 추진
👥 소비자와 기업에는 어떤 변화가?
✅ 1. 글로벌 기업의 비용 전가 우려
- 플랫폼 이용료, 디지털 콘텐츠 가격 인상 가능성
→ 유튜브 프리미엄, 넷플릭스, 앱스토어 유료 콘텐츠 등
✅ 2. 한국 스타트업·중소기업에 긍정 효과
- 공정 경쟁 기반 조성
- 외국계 플랫폼의 가격 경쟁력 감소 → 국내 플랫폼 기회 확대
✅ 3. 정부 세수 증가 → 복지·디지털 인프라에 재투자 기대
- 다국적 기업에 대한 과세권 확보로 세수 안정성 향상
💡 한국은 어떻게 대응하고 있나?
- 2025년부터 글로벌 합의안에 따라 한국도 디지털세 부과 본격화
- 국세청은 '해외 IT 기업 매출 파악 시스템'을 정비 중
- 국내 플랫폼 기업들도 해외 진출 시 과세 체계를 면밀히 검토해야 하는 시대
📣 디지털 경제의 질서를 다시 짠다
디지털세는 단순한 ‘세금’ 이슈가 아니라, 디지털 경제 시대의 새로운 질서 재편을 의미한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비용 인상이 부담일 수 있지만, 공정한 과세는 결국 더 나은 서비스 환경과 경쟁 구조를 만든다.